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전월세 계산기 사용방법 (네이버, 렌트홈, 쉽게 입력하기)

by abjsearch 2025. 3. 31.

전세와 월세 간 전환 금액을 계산하거나 반전세 조건을 알아볼 때 전월세 계산기를 사용하면 매우 쉽고 편하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 일반적인 사용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드릴게요. 쉬운 내용이니까 차근히 따라 해 보시기 바랍니다. 

목차

     

    썸네일용-텍스트

     

    전월세 계산기 사용 방법

    참고로, 특정 계산기 사이트마다 인터페이스가 다를 수 있지만, 기본 원리를 이해하시면 어디서든 응용 가능합니다.

    여기서는 최대한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는 네이버 계산기를 이용해 보겠습니다.

    네이버-전월세-계산기
    네이버 전월세 계산기
    내부링크-버튼용

     

    ① 계산 내용 선택

    전세에서 월세로 바꾸고 싶다면 '전세 → 월세'를 선택하고, 반대로 월세 조건을 전세로 환산하고 싶다면 '월세 → 전세'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② 전세금 입력

    전환하기 전, 현재의 전세 금액을 입력합니다. 예) 현재 전세 보증금 2억 원이라면 '2억 원' 숫자로 입력

     보증금 입력

    월세로 전환했을 때남길 보증금을 입력합니다.
    예)반전세로 전환할 때 보증금 5천만 원이라면 5천만, 혹은 전체 월세라면 '0' 입력

    ④ 전월세 전환율

    현재 전월세 전환율(이자율)을 입력합니다. 

    정부에서는 전월세 전환율을 정해두고 있고 변동 조건이기 때문에, 계산하는 시점의 전환율을 확인하고 입력하셔야 합니다. 현재 전환율은 4.75%입니다.

    ↓ 통계청에서 고시된 현재 전환율을 바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⑤ 임대료 인상률

    이 부분은 계약을 갱신할 때 임대료 인상의 상한선을 의미합니다. 현행법상 임대료 인상률은 5%를 넘길 수 없는 건데요, 그래서 자동계산기 대부분이 5%로 고정 설정 되어 있습니다. 기존 임대차계약을 갱신할 때만 사용하고 신규계약이라면 '0'으로 입력합니다.

    ⑥ 계산하기, 해석하기

    조건 입력이 끝나면 계산하기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계산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보증금을 2억짜리를 5천만 원만 남기고 월세로 전환했을 때, 1억 5천에 대한 전환이율은 연간 712만 5천 원이고, 12개월로 분할하면 월세는 약 59만 원이 됩니다. 

    📌계산 과정
    ◦ 보증금 전환 금액: 2억 - 5천만 = 1.5억 원
    ◦ 연간 월세: 1.5억 × 0.05(전환율) = 712만 5천 원
    ◦ 월세: 750만 원 ÷ 12 = 약 59만 원
    • 결과: 보증금 5천만 원 + 월세 약 59만 원

    전세계약-연상이미지전세계약-연상이미지-02

     

    렌트홈이랑 네이버 계산기 결과가 달라요.

    본격적으로 임대사업을 하시는 분들은 렌트홈 계산기를 더 많이 사용하시는데, 공공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전환율 정보 등 구체적인 정보가 기본적으로 반영되기 때문에 편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계산방식은 똑같고, 조건이 같다면 결과도 같습니다.
    그런데도 간혹 네이버 계산기와 렌트홈 계산기의 결과가 다르다는 이야기가 나오는 이유는 전환율등의 조건을 다르게 입력했기 때문입니다.

    위에서 계산했던 조건 그대로 렌트홈에서 계산한 내용을 올리면서 글 마치겠습니다.

    렌트홈-계산기
    렌트홈 계산기


    내부링크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