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럭시 핸드폰의 스팸 차단 기능 사용방법입니다. 받기만 해도 불쾌해지는 전화와 문자를 간단하게 차단하는 방법입니다. 매우 기본적인 방법이지만, 자주 사용하는 기능이 아니라면 헷갈릴 수 있습니다.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 그 자리에서 바로 차단, 신고하는 방법입니다.
갤럭시폰에는 스팸문자나, 스팸전화를 바로 차단하고 신고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스팸문자나 전화를 받으면 차단만 하고 끝내는 경우가 많은데요, 차단할 때 스팸신고를 동시에 하시면 스팸문자 근절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
갤럭시폰의 스팸신고 처리과정
❶ 신고접수
갤럭시폰의 메시지 앱이나 전화 앱에서 스팸번호를 신고하면, 신고된 정보는 삼성 서버를 거쳐 통신사의 스팸 신고 시스템으로 전달됩니다.
❷ 통신사분석
통신사에서 스팸정보를 분석하고, 스팸으로 확인될 경우 번호에 대한 차단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❸ KISA정보공유
통신사는 수집한 스팸정보와 갤럭시폰으로 접수된 신고 정보를 KISA의 불법스팸대응센터와 공유합니다.
❹ KISA정보활용
KISA는 통신사로부터 공유받은 스팸 정보를 분석해서 스팸 발송자 추적, 스팸 발송 경로 파악 등 스팸 근절을 위한 정책 수립 또는 기술 개발에 활용합니다. 경우에 따라 수사기관에 관련 정보를 제공하기도 합니다.
갤럭시폰으로 스팸신고 하기
스팸전화와 문자를 받았을 경우 간단하게 차단하고, 신고하는 방법입니다.
1. 스팸 전화 차단, 신고하기
전화메뉴의 최근통화 목록에서 차단할 번호를 가볍게 터치하면 메뉴가 나옵니다. 마지막 i 단추 클릭
하단 쪽에 다시 메뉴들이 나오고 차단을 선택합니다.
정상적으로 차단이 되면 바로 해당 전화번호 옆에 차단표시가 생깁니다. 여기까지가 번호를 차단하는 방법이었습니다.
하단메뉴에서 더 보기를 눌러 스팸신고까지 바로 이어서 합니다.
스팸번호로 신고를 누르면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의 동의서가 하나 뜨는데, 이 부분이 위에서 설명한 KISA정보공유에 대한 동의서입니다.
KISA에서 신고자의 전화번호와 신고한 스팸정보를 수집하여 활용하는 것에 대한 동의서입니다.
신고자가 스팸 신고를 하면 신고정보가 KISA에도 전달되어 스팸근절 대응에 활용되는 것이니 동의해 주세요.
동의 후 최종 스팸신고를 눌러 완료합니다.
2. 스팸 문자 차단, 신고하기
스팸문자를 차단 신고하는 방법입니다.
차단과 신고를 하려는 문자를 열고 상단메뉴를 확인하세요. 수신차단과 메시지신고 중 먼저 차단부터 하겠습니다.
수신차단을 누르면 대화삭제 부분이 체크되어 나오는데, 이 상태로 차단을 누르면 차단과 동시에 메시지가 삭제되기 때문에 이후에 신고를 할 수가 없습니다. 신고까지 마치려면 체크를 해제한 후 차단을 누르시면 됩니다.
아래 메시지 신고 과정에서 삭제까지 하시는 걸 권해드립니다.
스팸문자는 차단을 하면서 동시에 삭제가 가능하기 때문에 신고를 먼저 합니다.
메시지를 확인하면 상단에 수신차단과 신고버튼이 있습니다. 신고버튼을 선택합니다.
다음 화면에서 하단메뉴에 두 가지 선택 메뉴가 있습니다.
📍피싱으로 신고: 범죄의도를 가지고 개인정보를 취득하기 위해 속이거나 협박하는 전화와 문자
📍스팸으로 신고: 무분별하게 뿌리는 광고나 불법광고, 예를 들어 도박, 보험, 의약품등의 광고성 전화와 문자
직접적으로 피해상황이 있었거나, 범죄의도가 있는 문자나 전화였다면 피싱으로 신고를, 무분별하고 불법적 광고는 스팸신고에 해당합니다. 해당하는 내용 맞게 선택해서 신고를 진행하시면 됩니다.
맺음말
여기까지 갤럭시 핸드폰의 기본적인 스팸신고 방법이었습니다.
갤럭시 폰에서 스팸신고가 되면 실제 분석과정을 통해서 KISA에 정보공유를 하고 수사나 대응책마련을 위한 정보로 활용된다고 하니, 조금 귀찮더라도 차단과 동시에 신고까지 하시면 좋겠습니다.
핸드폰 설정을 조금만 살펴보면 어렵지 않은 기능이니까, 적극적으로 사용하셔서 나와 다른 사람들의 피해도 함께 줄이는데 도움을 주시기 바랍니다.